이번에는 텐서플로우에서 사용하던 함수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함수를 분석 공부를 하도록 하겠다~
일단 가장 생소했던 개념이다
Rank , 쉽게 이야기하면 ' [ '의 갯수이다.
위의 예제를보면 마지막 예제의 Rank 는 4개 이다.
Shape 는 [, , ,] 이런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대
이떄 Rank 는 ' , ' 의 갯수를 정한다고 보면된다.
결론적으로 shape 는 array의 모양 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마지막으로 axis 는 축으로써
차원의 갯수가 늘어 나면 축의 갯수도 늘어난다
가장 안쪽의 배열이 축의 가장 큰수가 되고
가장 밖깥쪽의 축은 -1 or 1 로 표현이 된다
두번쨰는 행렬과, 배열의 차이이다.
가장 큰차이는 연산에서 일어난다..
뭐.. 실수만 안하면 ... ㅎㅎ
다음은 브로드 캐스팅 개념인대
쉽게 정리하면, shape 을 똑같이 맞춰준다.
이런식으로 연산시, shape 가 틀리지만,
먼저 쓴( 연산에서 첫번쨰 피연산자) 를 따라서 shape 의 모양을 정해준다.
다음은 Reshape 인대
말그대로 다시 shape 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여기서의 -1 의 표현은 전체 라고 보면된다.
Reshape 에 두가지 종류가 존재하는대
squeeze 는 rank를 없에주는,
expand 는 shape 을 추가해주는 역할을 한다.
둘다 원하는 모양을 , 데이터를 대입해서 사용하면 된다.
One_hot 은 우리가 이전에 많이 써봤던 것이다.
가장 큰값이 존재하는 array 의 index값을 알려주는 역할을한다
depth 는 값의 갯수라고 보면된다 ( ex 0~9 까지의숫자가 존재한다면 depth = 10 이되겠다.)
cast 는 형변환이라고 보면된다,
물론 형변환도 되고, 위의 내용처럼, 참과 거짓의 표현 역시 변환이 가능하다.
음 큰의미로 변환시키다 라고 보면 될듯>?
스택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 개념이다.
중요한건 axis 를 사용할 수 있음으로, 잘 계산하는게 중요!
이건 shape 의 모양을 가져와서 1로 채울지 0으로 채울지 만드는 것이다.
( 아직 까지 사용용도는 잘 모르겠지만... 언젠간 쓸일이 있겠지?)
마지막으로 Zip 이다.
압축 .. 그냥 여러 데이터, 여러 shape 들을 편하게 for 문 돌릴때 주로 사용한다.
'딥 러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CNN ( Convolutional NN ) (0) | 2017.12.27 |
---|---|
05. ReLU 와 초기값 설정 ( 딥러닝 잘하는 법) (0) | 2017.12.15 |
04. XOR tensorflow 실습, 딥러닝 (0) | 2017.12.12 |
03. XOR의 문제, 해결방법 (0) | 2017.12.12 |
01. 딥러닝의 개념( 딥의 역사, 활용도 ) (0) | 2017.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