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시간 까지는 한가지의 입력값으로 예제들을 공부했다.
하지만 데이터의 양이 한가지만이 아니라 여러가지 종속된 데이터들을 가지고 결과를 뽑아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면 국어, 수학, 영어 의 성적을 가지고 총 점수를 예측한다고 할때
3가지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럼 어떤식으로 Hypothesis 를 구성할수 있을까?
그냥 H(x1,x2,x3) = w1x1 + w2x2 + w3x3 + b 이런식으로 구성하면된다.
그럼 자연스럽게 cost(W,b)역시 구할수가 있게된다.
하지만 여기서는 3가지를 예를 들었지만 더많은 데이터들을 입력하면?
Hypothesis 가 구성하기 정말 까다롭고 어려울것이다.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행렬 ( Matrix ) 이다. 행렬의 곱셈을 이용하면 쉽게 구성할수 있게된다.
이런식으로 곱셈을 이용하여 처리하면 된다.
그럼 어떻게 X 와 W 의 값을 구할까? 쉽게 구하는 방법이있다.
이런식으로 주로 X 의 값과 H(x) 의 값은 주어짐으로, W 의 값만 구하면 되는대 각각
X = [5(instance) ,3(variable)] 에서 Variable 부분이 W 의 앞부분
H(X) = [5,1] 에서의 1이 뒷부분을 차지한다
그럼 정답은 W = [3,1] 이된다!
이런식으로 더욱 복잡하고 많은 데이터들도 쉽게 설계가 가능하다!
'머신 러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Logistic Classification (0) | 2017.12.05 |
---|---|
07.Multi_variable 실습 (0) | 2017.12.04 |
05.Linear_regression의 cost 최소화 개념 (0) | 2017.12.03 |
04. Linear Regression (0) | 2017.12.02 |
03. TensorFlow 예제 (0) | 2017.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