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2 02. Layer 2 ( 데이터 링크 계층 ) Data Link Layer 1계층인 물리 계층을 제외한 모든 계층은 소프트웨어와 관련이 있다. 1계층은 말그대로 물리 계층 이기에 기기와 관련이 깊기 때문에 다루지 않겠다. ( 완전하게 기계만 다루는 것은 아니다 ) 2계층은 쉽게 가장 기본적인 네트워크 방식이 적용되는 곳이다. 그러기에 가장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쉽게 위와 같은 그림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 ARP poisioning 이라고 써있지만 밑에서 설명 하겠다 ) Hub 라고 하지만 라우터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즉 결론 적으로 클라이언트 들을 라우터로 연결 시켜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곳이 데이터 링크 계층이라고 보면 된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MAC 이라는 주소체계를 사용한다. MAC 이란 클라이언트의 고유 번호 라고 생각하면 된다.. 2017. 11. 14. 01. OSI 7 Layer OSI 7 계층 7계층은 일단 위의 그림과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계층을 공부하며 네트워크의 통신과정을 공부할 계획이다. 각층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7 Layer : Application 계층 - 흔히 게임, 채팅, 웹 과 같이 우리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다루는 곳을 말한다. - DNS, DHCP ,FTP, HTTP 등 이 해당된다. 6 Layer : Presentation 계층 - 표현 계층으로, 주로 코드간의 번역을 담당한다. - 데이터의 형식차이를 5 Layer : Session Layer 계층 - 세션 계층으로 보통 암호화, 인코딩, 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 추상적인 계층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한다, ---------------------------------------------.. 2017. 9. 21. 이전 1 다음